나의 졸업작품에 대한 이야기
이 블로그에서 취미생활에 대한 글도 쓰겠지만 나의 본업인 디자인에 대한 이야기도 종종 해보고자 이렇게 운을 떼게 되었다. 그리고 디자인에 대한 첫 글로 내 대학 졸업작품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아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이야기를 짧게 해보고자 한다
나는 대학시절 UI/UX 수업과 인터렉션을 들으며 사용자의 인풋에 따른 제품의 반응이 사용성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나중에 이런 내용을 제품에 적용해서 작품으로 만들어보면 좋겠다는 생각에 졸업 작품 주제를 [아동의 언어교육을 위한 교구 디자인]으로 정하게 되었다. 인터렉션을 아동교육에 적용해 보면 어떨까?라는 생각도 있었고 인터렉션이라는 요소를 아동 교구에 접목시켰을 때 가장 효과가 좋을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던게 이유였다.
아동용 교구를 디자인한다는 것은 다양한 것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작업이었다. 시각적으로 아이들의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했고, 재미있는 하나의 놀잇거리가 될 수 있어야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인풋에 따라 적절한 반응을 하는 인터렉션은 필수 요소였다.
예를들어 **[사과]**라는 단어를 학습할 수 있게 하기위해 단순히 사과라는 텍스트와 그림만 보여주는 것은 아이들이 [사과] 라는 단어를 재미있게 익히기 어렵게 할 수도 있다. 이 말을 간단히 정리해 보자면 하나의 단어를 익히는 것이 아니라 A=B 라는 원리처럼 줄줄줄 외우는 느낌이 되버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나의 영어 단어를 공부할 때도 단어와 의미를 새뇌시키듯이 외우게 하는것은 한계가 있듯이 단어가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또 어떻게 발음하는지에 대한 맥락과 소리는 언어 학습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나는 기존 아동용 단어 학습 교구에 인터렉션을 적용해 보기로 했다.
예를들면 단순히 동화책을 읽고 그 책에 나오는 단어를 인지하고 배우는 것이 아닌 “책에서 나온 단어 카드를 들고 기계에 꽂아서 해당되는 내용을 듣고 보는” 과정을 통해 단어를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다 [들고, 꽂아서] 라는 행위가 [듣고, 보는] 결과를 만들어내고 그것을 통해 하나의 단어를 학습하게 한다면 단순히 보는것으로 단어를 학습하게 하는 것 이상의 경험을 줄 수 있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그래서 이 이미지와 같이 책에서 카드를 뽑아 기기에 꽂으면 소리와 함께 이미지가 출력되는 교구를 디자인하기로 했다 (해당 이미지는 내가 졸업 당시에 판넬에 인쇄하는 용도로 만들었던건데… 시간이 너무 오래 지나서 원본은 못구하고 이렇게 화질구지 자료라도 캡쳐해서 올려보는 것 입니다)
스케치와 디자인
내가 생각하는 디자인의 제품을 만들기 위해 스케치를 한 이후, 사이즈에 맞춰 모델링을 했다. 너무 오래전이라 사진 찾기가 힘들었는데 있는 사진들 몇 개 위주로 올려보자면 이런식의 스케치 과정과 모델링 과정 이후 3D프린팅을 통해 제품 모형을 뽑아서 전시 제품을 만들었다. 당시 워킹목업을 만드는게 나름의 꿈? 이었는데 전자과 친구의 도움을 받아서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해 제품을 동작시키는 부분까지 진행할 수 있었다.
프로토타입과 완성 제품
그렇게 해서 완성된 제품은 … 두둥! 사진과 같다! 다 쓰고나니까 별거 없어 보이기도 하지만 동화책 그림과 디자인부터 제품까지 손이 많이 간 작품이라 애정이 남다르긴하다. 몇 년이 지난 지금 다시 꺼내봐도 그 때 했던 고생과 고민과 목업만들때 사용한 돈과 이런것들이 다시 생각날 정도라는건 그만큼 많이 고생아닌 고생을 하기도 했던 것 같다.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이걸 만들었던 당시의 나는 제품에 있어 인터렉션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했다. 사용자에게 행위를 유도하고 행동하게 하는것은 바로 인터렉션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들은 그냥 눈으로 보고 지나치게 하는것 이상의 경험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았다. 오랜만에 글을 발행하며 그 때 했던 생각과 고민들을 회상해보니 그 당시 인터렉션의 중요성에 대해 깊게 생각해 봤던 내용들이 떠올라 글을 쓰는 내내 많은 생각을 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어서 좋았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글에서 새로운 주제로 만나요 🙂